화성의 면세점 쇼핑백 제조업체 A 사는 "해외여행이 줄고 문을 닫은 면세점이 늘면서 올 1~2월 매출이 작년 대비 95%가량 줄었다"며 "설 연휴 이후 신규 주문이 '제로'인 상황"이라고 말했다. A 사는 "당장은 건물과 땅을 담보로 대출을 받아 직원들 월급 주고 있지만, 사태가 한두 달만 더 계속되면 직원들 내보내고 폐업을 고민해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대전의 식품가공업체 B 사는 "마스크 부족으로 생산라인 가동 중단의 고비를 여러 번 넘기고 있다"며 "HACCP 인증을 위해 생산라인 직원들이 반드시 마스크를 착용해야 하는데, 한 달에 필요한 2500개의 20%인 500개도 겨우 구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만일 생산 차질로 납품 기일을 맞추지 못하면 편의점 등 납품업체에 거액의 페널티를 물어줘야 한다"며 한숨 지었다.
부산의 자동차부품 제조업체 C 사는 "주요 수출국으로 향하는 항공편이 크게 줄어 운임이 급격하게 상승했고, 그마저도 공간 확보가 어려운 상황"이라며 "설상가상으로 중국 등 현지 공장으로 엔지니어를 파견해서 공장설비 세팅 및 유지보수 작업 등을 해야 하는데 입국제한 조치로 활동의 제약이 크다"고 말했다.
시흥의 플라스틱용기 성형기계 제조업체 D 사는 "미국, 일본, 방글라데시 등에 약 40억 원 규모의 수주계약을 따냈지만 코로나 사태로 모두 연기됐다"며 "우리 같은 중소기업에게 해외 판로개척의 주요 수단은 해외전시회인데 거의 셧다운 상태라 잠재적 수출 피해규모는 산정이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전대미문의 코로나19 사태로 국내 소비와 생산은 물론, 글로벌 수요까지 직격탄을 맞으면서 내수·수출기업의 경기전망을 큰 폭으로 끌어내렸다. 이에 2분기 제조업체들의 체감경기가 '글로벌 금융위기' 수준까지 떨어졌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전국 2200여 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2분기 제조업체 경기전망지수(BSI: Business Survey Index)'를 조사한 결과, 지난 1분기보다 18포인트 하락한 57로 집계됐다고 2일 밝혔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1분기의 '55'에 근접한 수치로 낙폭 역시 이 때(-24p) 이후 최대치다.
대한상의 기업경기전망지수는 100 이상이면 '이번 분기의 경기를 지난 분기보다 긍정적으로 보는 기업이 많다'는 의미고 100 이하이면 그 반대다.
대한상의는 "감염병 확산에 따른 매출 감소와 생산 차질이 자금 회수를 차단해 기업을 극심한 자금 압박에 몰아넣는 실물-금융 간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며 "미국·유럽 등지에서 감염병이 급속도로 퍼지는 등 장기화 추세를 보이고 있어 체감경기의 반전이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기업들이 느끼는 피해는 수치로도 입증됐다. '코로나19 확산으로 기업활동에 피해를 입었는지'를 묻는 질문에 응답기업의 71.3%가 "그렇다"라고 답했다.
구체적으로는 '내수위축에 따른 매출 감소(70.3%·복수응답)', '글로벌 수요 부진에 따른 수출 감소(30.1%)', '중국산 부품·자재조달 어려움(29.4%)', '방역물품 부족(29.4%)', '자금 경색(24.0%)', '물류·통관 문제(14.5%)' 등을 주요 애로사항으로 꼽았다.
'작년 1분기 실적 대비 올해 1분기 매출액 감소폭'에 대한 예상은 평균 22%로 집계됐다.
'과거 경제위기와 비교한 산업현장의 피해 정도'에 대해서는 'IMF 외환위기 때와 유사(41.4%)하거나 더 크다(35.6%)'는 응답이 '더 적다'(23.0%)는 답변보다 높게나왔다.
'금융위기 때와 유사(41.8%)하거나 더 크다(41.4%)'는 응답이 '더 적다(16.8%)'는 답변보다 훨씬 높게 나왔다.
이에 따라 수출기업과 내수기업의 체감경기전망은 모두 큰 폭으로 떨어졌다. 2분기 수출기업의 경기전망지수는 63으로 전분기보다 25포인트 하락했으며, 내수부문은 56으로 15포인트 떨어졌다.
지역별 체감경기는 전국의 모든 지역이 기준치를 밑돌았다. 특히, 코로나19로 2월 관광객이 40% 넘게 감소하는 등의 피해를 입은 '제주(43)'와 인구 10만 명당 발생률이 높은 '충남(43)', '대구(50)', '경북(51)' 등이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업종별로는 감염병 피해가 큰 대구·경북지역에 밀집한 '섬유·의류(45)', '자동차·부품(51)', '기계(59)' 부문을 중심으로 모든 업종의 체감경기가 기준치를 밑돌았다.
코로나19에 따른 경제적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정책 과제로는 '금융·세제 지원(72%·복수응답)', '공정거래, 세무조사 등 기업조사 유예(35.3%)', '조업재개를 위한 외교적 노력(31.4%)', '내수·관광 회복을 위한 인센티브(28.5%)', '서비스·신산업 관련 규제개혁(15.7%)' 등을 차례로 답했다.
대한상의 코로나19 대책반장 우태희 상근부회장은 "코로나의 경제적 충격이 大-中企, 내수-수출, 금융-실물에 관계없이 매우 광범위하고 복합적으로 발생하고 있다"며 "장기화 가능성이 커진 상황에서, 정상기업과 소상공인들이 일시적 자금경색으로 무너지는 일이 없도록 일선 창구에서의 자금 집행 모니터링에 더욱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