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원 윤모(59)씨는 주말마다 지방에 있는 요양원을 찾아간다. 거동하지 못하는 아버지(90)의 건강상태를 살펴보기 위해서다. 평소 정정하던 아버지는 일흔을 넘겨서도 청년처럼 건강했다. 그런데 여든줄로 접어들자 뇌졸중이 찾아오더니 아예 몸을 쓰지 못하게 됐다. 침상에만 누워 있는 와상환자가 된 지도 벌써 3년째다.
장수사회의 그늘, 노후파산 고령화 급속 진행, 90세 이상 15만 명 80세 전후 병 덮쳐 10여 년 병원 신세 자식들도 노후 준비 못한 채 은퇴 노부모 부양 부담 겹쳐 빈곤층 전락 노인빈곤율 50% … 노후 대비 시급
아버지 간병 비용은 고스란히 외아들인 윤씨 몫이다. 노인성 질환을 인정받아 노인장기요양보험 혜택을 받고 있지만 식대·기저귀값을 포함하면 본인 부담금도 50만원이 넘는다. 이제 곧 퇴직하는 윤씨로선 아버지 병간호에 자신의 노후자금을 쏟아붓고 있는 셈이다. 윤씨는 “노후 대비를 못한 아버지는 가진 돈이 없어 내가 모든 부담을 떠안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의 80~90대와 이들의 자녀인 베이비부머들이 ‘노후파산’의 직격탄을 맞고 있다. 1955년에서 63년 사이에 태어난 베이비부머의 부모들이 90세를 넘어서면서 노후자금이 바닥나고 간병까지 받게 되면서 ‘의료파산’에 직면하고 있다. 장수를 예상하지 못했던 세대였으니 연금은 물론 의료비도 충분히 마련하지 못한 결과다.